예산 관리의 첫걸음
돈을 어떻게 관리해야 할지 막막하시죠? 예산 관리는 재정적 자유를 향한 첫걸음입니다. 오늘은 초보자도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50/30/20 규칙"을 소개합니다. 이 방법은 복잡한 계산 없이 소득을 세 부분으로 나누어 관리하는 간단한 전략입니다. 이 블로그를 통해 당신의 돈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배워보세요!
내 돈, 이렇게 나눠봤어: 50/30/20 예산법으로 시작하는 예산 관리
1. 50/30/20 규칙이란?
50/30/20 규칙은 세후 소득을 세 가지 카테고리로 나누는 예산 관리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미국 상원의원 엘리자베스 워렌이 저서 "All Your Worth"에서 대중화했습니다.
2. 규칙의 기본 구성
- 50% - 필수 경비(Needs) : 생활에 필수적인 지출, 예: 집세, 식비, 공과금, 교통비
- 30% - 선택 경비(Wants) : 삶의 질을 높이는 비필수 지출, 예: 외식, 영화, 취미
- 20% - 저축 및 빚 갚기(Savings/Debt) : 비상금, 퇴직 자금, 대출 상환 등 미래를 위한 투자
이 규칙은 단순하면서도 효과적이며, 누구나 자신의 재정 상황에 맞게 조정할 수 있습니다.
3. 실전 적용 방법
1단계: 소득 파악하기(세후 소득 계산)
월급에서 세금과 기타 공제(건강보험, 퇴직연금 등) 를 제외한 실수령액을 계산합니다.
ex) 예를 들어, 세전 월급이 300만원인 경우 :
세전 월급 | 3,000,000원 |
소득세 (3%) | -90,000원 |
주민세 (0.3%) | -9,000원 |
국민연금 (4.5%) | -135,000원 |
건강보험 (3.545%) | -106,350원 |
장기요양보험 (건강보험의 12.81%) | -13,623원 |
고용보험 (0.9%) | -27,000원 |
실수령액 | 2,619,027원 |
2단계: 지출 분류하기
모든 지출을 세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카테고리별로 비율에 따라 분배하여 금액을 기록합니다.
예를 들어 위의 계산식을 토대로 A씨의 세후 소득이 대략 250만 원이라고 가정해 봅시다.
- 필수 경비(50%) : 약 1,250,000원(집세 70만, 식비 30만, 공과금 15만, 교통비 10만)
- 선택 경비(30%) : 750,000원(외식 30만, 취미 20만, 쇼핑 25만).
- 저축 및 빚갚기(20%) : 500,000 원(비상금 30만, 대출 상환 20만).
이런 식으로 지출을 분류하고 각각의 카테고리별 한도 내에서 관리하면 됩니다.
A 씨는 집세가 높아 필수 경비가 60%가 필요하다면, 선택 경비를 25%, 저축을 15%로 조정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50/30/20 규칙은 유연하게 적용 가능합니다.
3단계: 규칙을 유지하는 방법
50/30/20의 규칙을 정한 후 실천하고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규칙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의 첫 번째는 자동화 설정입니다.
저축 계좌로 자동이체를 설정하여 20%를 먼저 분배해 놓습니다.
참고로 은행에서 제공하는 상품의 금리를 비교할 수 있는 사이트를 추천합니다.
- 전국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 (portal.kfb.or.kr): 예금, 적금 금리 비교 및 상품 정보 제공
전국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
금융상품정보, 금리/수수료 비교공시, 금융서비스정보, 소비자정보, 금융교육, 보이스피싱정보
portal.kfb.or.kr
- 금융감독원 금융상품한눈에 (finlife.fss.or.kr): 정기예금 및 저축 상품 금리 비교 가능
금융감독원 금융상품통합비교공시 금융상품한눈에
금융감독원 금융상품통합비교공시 금융상품한눈에
finlife.fss.or.kr
- 뱅크샐러드 (banksalad.com) 저축은행 및 시중은행의 고금리 예·적금 상품 추천
뱅크샐러드 | 금융을 넘어 건강 자산까지
www.banksalad.com
두 번째는 지출의 점검입니다. 매주 지출내역을 확인해 카테고리별 초과 여부를 체크합니다.
마지막으로는 실천력입니다. 처음부터 완벽할 필요는 없습니다. 한 달간 시도하며 자신의 상황과 형편에 맞는 비율을 찾아봅니다.
디지털 도구 활용
예산 관리 앱을 활용하여 지출을 추적하고 목표 달성을 모니터링합니다.
⛰️이 규칙의 장점과 한계
장점:
- 단순하고 직관적이라 예산 관리 초보자에게 적합.
- 필수 지출, 즐거움, 미래 준비를 균형 있게 관리.
- 개인 상황에 맞게 조정 가능.
한계:
- 고정비가 높은 경우(예: 대도시 거주자) 50% 필수 경비가 부족할 수 있음(John Hancock).
- 소득이 불규칙한 프리랜서에게는 적용이 어려울 수 있음.
이런 경우, 비율을 조정하거나 다른 예산 방법(예: 봉투 시스템)을 병행할 수 있습니다.
결론
50/30/20 규칙은 예산 관리의 복잡함을 줄여주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세후 소득을 세 부분으로 나누는 이 방법은 필수 지출을 충족하면서도 삶의 즐거움과 미래를 위한 저축을 균형 있게 관리할 수 있게 해 줍니다. 지금 세후 소득을 확인하고, 이 규칙을 적용해 보세요. 작은 시작이 재정적 자유로 이어질 거예요! 앞으로 30일 동안 매일 새로운 재정 관리 팁을 공유할 예정이니, 계속 따라와 주세요!
'돈 관리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행도 알뜰하게! 국내가족여행 할인 팁 (3) | 2025.04.26 |
---|---|
2025년 커플·가족 필수! 돈 아끼는 예산 앱 Top 3 (1) | 2025.04.25 |
돈 아끼는 생활 습관, 이렇게 시작해보세요! (1) | 2025.04.24 |
투자의 척도 : 거래량 (0) | 2024.01.22 |
투자를 위한 첫걸음 : 주린이 탈출하기 (2) | 2024.01.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