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 관리 기초

투자를 위한 첫걸음 : 주린이 탈출하기

by 이리노 2024. 1. 21.
반응형

취업난과 경제난으로 물질적으로도 정신적으로도 자산을 증식할 수 있는 여유와 여력이 부재한 현실에 안타깝게도 수긍하고 포기하는 사람들이 주변에 너무나 많습니다. 과거엔 종잣돈을 모아 부동산, 주식, 채권, 금리가 높은 예, 적금등을 통해  자산을 증식해 나갔다 하지만 경기침체에 대출이자는 내리질 않고 지금 순간을 붙잡고 버티는 것만 해도 너무나 힘든 현실입니다. 하지만 이런 상황이라고 부를 축적하는 사람이 없는 건 아닙니다. 서점에 가면 투자, 특히나 주식에 올바로 투자하는 방법과 주식으로 돈을 버는 방법들에 대한 책들을 정말 많이 찾아볼 수 있습니다. 사회활동을 처음 시작한 곳이 증권회사였고 주식에는 어느 정도의 기본 상식이 있던 터라 주식에 거부감은 없던 터라 항상 언젠가는 주식 투자를 할 거야 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증권시장도 예전과는 많이 바뀌고 변한 만큼 새로이 첫걸음을 내밀어 주린이 탈출하기를 계획합니다. 앞서 서점에 나온 책들 중 도움이 되는 내용들을 발췌하여 요약해 나갈 예정입니다. 

 

증권거래소 이미지

 

 

주식 시장 분석법

 

1. 펀더멘탈 분석 : 기업의 내재가치를 근거로 주식의 가격을 설정하는 분석법

주로 전문 트레이더 들이 사용하는 분석법으로 해당 기업의 수익, 자산, 부채, 판매량, 실적 등 기업평가를 위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화하여 적절한 주가를 설정합니다.

  

펀더멘털 분석법 : 기업의 내재가치 분석

 

 

2. 기술적 분석 : 주식의 가격과 거래량을 중점적으로 분석하는 방법

 

가격의 변동성, 차트, 추세, 지지와 저항, 수요와 공급 = 거래량 등을 분석하여 주식 투자를 결정합니다.

 

다우이론 : 

기술적 분석의 창시자로 알려졌으며 '월스트리트 저널'을 창간한 찰스.H.다우(Charles H. Dow)는 자신의 주가에 대한 분석과 전망을 신문에 실었고 그가 죽은 후 이를 계승한 윌리엄 피터 해밀턴(William Peter Hamilton), 로버트 리어(Robert Rhea) 등의 제자들에 의해 전파되었습니다. 

 

 

결론

기술적 분석과 펀더멘털 분석중 어느 것이 '정'이고 '답'일 수는 없습니다. 장기적으로 볼 때 펀더멘털도 분명히 필요하고 중, 단기로 볼 때 기술적 분석도 중요합니다. 유튜브의 주식에 대한 채널을 들여다보면 어떤 종목을 사서 몇 년을 기다리면 떼부자가 된다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경험을 들어보면 증권회사에 근무했던 당시에 정말 오래전에 사 두었던 묵은 주식으로 몇천 배의 수익을 거둔 분들도 많이 보았습니다. 그때가 샴페인을 일찍 터트렸다는 시기였고 그 당시는 어떤 종목이든 가능했었습니다. 이후 IMF가 터졌고 기업은 부도가 났으며 주식은 하루아침에 종이쪼가리가 되어 깡통계좌라는 용어도 등장했었습니다. 투자한 기업의 수익성, 규모, 부채비율, 유동성 등을 고려한 펀더멘털이라도 내리 하강하는 주식이 많이 발생했습니다. 펀더멘털분석은 오늘 좋던 기업이 내일 악재를 만나 상폐할 수도 있다는 최악의 시나리오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다고 기술적 분석이 답인 건 아닙니다.

거래량이 몰리고 주가가 올라 샀더니 꼭 내가 사면 내리더라


라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이런 실패를 줄이고 손실을 줄이기 위해 올바른 투자의 방법을 공부하고 실천해야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한가지 분석법에 치우치지 않고 두 가지 방법을 동원해야겠지만 선행하여 기술적 분석법에 대해 제대로 파고 들 생각입니다.

 

반응형

댓글